언리얼 기초 5 에디터 세팅 컨텐츠 브라우저

Content Browser 세팅 언리얼 에디터 좌측 하단에 Content Drawer라는 버튼을 누르면 프로젝트 파일들의 폴더 구조가 보인다. 이는 개발시 수시로 봐야 하는 내용들이기에 움직이게 수시로 보이도록 고정해두자 Content Drawer Layer 우측 -> Dock in Layout Content Drawer 폴더 프로젝트를 처음 생성할 때 우리 프로젝트가 어느 경로에 위치할지 설정한다. 필자는 (C:\Works) 그 경로를 확인해보면 Content 폴더가 보인다 … Read more

언리얼 기초 4 에디터 세팅 에셋 윈도우

에셋 윈도우 오픈 설정 언리얼은 개발시 다양한 보조 탭들이 생성된다 이때 기본 블루프린트나, 에니메이션 블루프린트를 만들면 새로운 윈도우가 생성되어 혼란스러울 수 있다. 사운드나, UI 위젯, 에니메이션 몬타지(몽타주) 등, 리소스 에셋들을 다룰 때마다 그에 해당하는 편집툴들도 새 윈도우를 통해 보여지려 한다. 정신 없으니 메인 윈도우에 탭의 형태로 추가되도록 하자. 어차피 뗐다 붙였다 할 수 있다. Edit … Read more

언리얼 기초 3 에디터 세팅 영문 전환

언리얼 에디터 영문 전환 에픽 게임즈 런처를 설처하고 언리얼 에디터를 설치하면 기본 개발 환경이 한글 기반이다. 설치 과정에서 국적과 언어 설정이 되기 때문. 반면 언리얼 개발에 필요한 자료들은 영어가 많다. 특히 최신 자료는 다 영어라고 봐야 한다. 내 개발 환경도 영문 버전인게 참고하기에 차라리 편하다 편집 -> 에디터 개인 설정 -> 지역 & 언어 -> … Read more

언리얼 기초 2 언리얼 엔진과 C++

IDE (통합 개발 환경) 대표적인 통합 개발환경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ment)에는 아래와 같은게 있다. 언리얼 프로젝트와 호환되는 대표적인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ment)들 기본 텍스트 에디터와 함께, 각종 개발 도구들(컴파일러, 라이브러리, 디버깅 툴등)이 포함되어 있기에 통합 개발환경(IDE) 이라는 정식 명칭이 있지만, 결국 텍스트 에디터와 컴파일러가 주 역할. 입문자에겐 Visual Studio를 추천한다. 5.x 버전 이후 언리얼은 사실상 같이 설치된다. … Read more

언리얼 기초 1 설치

언리얼 설치 얼리얼 설치는 엔진을 그냥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보통은 에픽게임즈 런처를 설치한 후 그곳 언리얼 설치 버튼을 통해 한다. 에픽게임즈는 게임 제작사겸 유통사이자 언리얼 엔진 개발사이다. 이 회사의 대표작인 언리얼 시리즈를 개발하는 데 사용 되었고, 지금은 대세 개발 엔진으로 자리잡는 추세이다. 에픽게임즈 런처 설치 구글에서 언리얼 다운로드라고 치거나 에픽 게임즈 런처라고 치면 두개의 다운로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