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기초 1 설치

언리얼 설치

얼리얼 설치는 보통 에픽게임즈 런처를 설치한 후 그곳의 언리얼 엔진 항목을 통해 한다.

에픽게임즈는 게임 제작사겸 유통사이자 언리얼 엔진 개발사이다. 엔진은 회사의 대표작인 언리얼 시리즈를 개발하는데 사용 되었고, 지금은 유니티와 함께 대세 엔진으로 자리잡고 있다.

언리얼 시리즈 중 하나인 언리얼 토너먼트3

에픽게임즈 런처 설치

구글에서 언리얼 다운로드라고 치거나 에픽 게임즈 런처라고 치면 두개의 다운로드 경로가 나온다. 결국 한 페이지로 간다. (에픽 게임즈 런처 설치 페이지)

에픽 게임즈 런처는 스팀(Steam)처럼 그냥 게임 파는 스토어 기능을 하고 있다, 언리얼 엔진이 유명하니까 게임들을 끼워팔기 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

다만 다양한 버전의 얼리얼 엔진을 사용할 경우 런처가 이를 관리해주기 때문에 필요는 하다.

런처가 설치되고 나면 왼쪽 탭에 언리얼 엔진 설치 항목이 보인다.

25년 7월 5일 현재 엔진 버전은 5.6.0까지 나와 있으며 필자는 이를 사용할 것이다.

버전 선택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은 고려사항이 있다.

  • 언리얼 엔진은 4.x 버전부터 현재와 비슷한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고 있다. 그중 선택을 권장
  • 5.x 이후부터 기술적으로 진보된 부분이 있기에 더 권장한다 (그래픽 최적화 LOD 등)
  • 4.x 대는 서적등 참고자료가 많다. 대신 UI가 좀 투박하다.
  • 사용하는 버전에 버그가 있다고 바꾸지 말자 언리얼은 모든 버전에 버그가 있다.

설치하고 나면 아래와 같은 언리얼 엔진의 진입 화면이 보인다, 이미 만들어진 프로젝트는 필자 개인 프로젝트

좌측 게임탭 클릭 -> Third Person 팩 선택

우측 C++ 탭 선택

언리얼은 C++없이 개발할수도 있다. C++ 탭 대신 블루프린트 탭을 누르면 된다.

블루프린트 언리얼 내부에서 개발자 대신 C++ 영역을 다뤄주는 스크립트 시스템

이 경우 게임 탬플릿(게임 개발을 위해 미리 준비된 캔버스, 백지 같은 기본 세팅)에 좀 더 확장된 기능을 추가해서 개발을 시작할 수 있다.

Quility Pereset 그래픽 품질 조정 옵션 Maximum과 Scalable의 설정차이를 비교했을 때 아래와 같다고

Quility Preset 설정 차이
[ad@DONALD source]$ diff -r MaxQuality/Game/ Scalable/Game/
diff -r MaxQuality/Game/Config/DefaultEngine.ini Scalable/Game/Config/DefaultEngine.ini
20a21,26

> [/Script/HardwareTargeting.HardwareTargetingSettings]
> TargetedHardwareClass=Desktop
> DefaultGraphicsPerformance=Scalable


56,57c62,63
< r.DefaultFeature.AutoExposure=True
< r.DefaultFeature.MotionBlur=True

> r.DefaultFeature.AutoExposure=False
> r.DefaultFeature.MotionBlur=False
59c65
< r.DefaultFeature.AntiAliasing=2

> r.DefaultFeature.AntiAliasing=0
67,72d72
<
< [/Script/HardwareTargeting.HardwareTargetingSettings]
< TargetedHardwareClass=Desktop
< AppliedTargetedHardwareClass=Desktop
< DefaultGraphicsPerformance=Maximum
< AppliedDefaultGraphicsPerformance=Maximum
diff -r MaxQuality/Game/Config/DefaultGame.ini Scalable/Game/Config/DefaultGame.ini
2c2
< ProjectID=04A38C7F4EEC40F0E0B481AE79A84D64

> ProjectID=1F0611EC4A86D4CA89A1D3B4BF175710

출처: Unreal Engine Forum 글 보기

  • AutoExposure : 그림자나 빛이 없는 환경에선 화면 밝기를 올려주고, 밝은대선 내려주는 기능
  • MotionBlur : 액터가 빠르게 움직일때 약간의 잔상을 남겨 자연스러운 연출
  • AntiAliasing : 텍스처들의 픽셀이 클경우 계단 현상이 나타나는걸 뭉개주는 기능 (0일때 안씀 설정)
  • DefaultGraphicsPerformance : 언리얼 기본 그래픽 설정

필자는 언리얼 에디터를 한글 버전 대신 영문 버전을 사용한다. 개발에 필요한 레퍼런스가 대체로 영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영문 버전 에디터가 보고 따라하기 편하다.

언리얼 라이센스

언리얼은 유니티나 고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발자가 지불해야 하는 비용(라이센스)가 큰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회사가 이런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좀 무던해졌다. 아래와 같은 옵션

  • 학생, 1인 개발자, 소규모 스타트업 회사의 경우 개발한 게임의 총 수익이 US$1,000,000 (13억 8천만원) 미만일 경우 무료
  • 개발한 게임이 US$1,000,000을 돌파했거나 얼리얼 엔진을 이용한 개발물이 게임이 아닐경우 개발자 한명이 사용하는 언리얼 프로그램 하나당 연간 US$1,850(255만원)을 지급해야 한다. 매달 21만원?)
  • 총 수익 US$1,000,000 돌파한 게임 프로젝트는 매출의 5%를 로열티로 지불해야 한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