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과 Github 3 local과 repository의 ssh 연결

SSH (Secure Shell), 쉘 프로토콜 앞의 설명에서 우린 Github에서 만든 레포지터리에서 제공해주는 주소가 두 종류라는 것을 알았다 https주소, ssh주소 이 주소를 사용하는 각자의 프로토콜들은(https 프로토콜, ssh 프로토콜) 인터넷 인프라 위에서 저마다의 역할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는 통신방식이다(다른 말로 프로토콜). 보통 인터넷이라는 이 거대한 망에 무언가 새로운 목적이나 역할이 추가로 생기면, 그에 맞춰서 만들어지고 활성화되는 게 그 … Read more

Git과 Github 2 Github의 repository 생성과 로컬 환경 세팅

필요할 수 있는 다양한 브랜치들 이제 앞의 설명에 이어서 Github에 내 블로그의 html과 css내역을 담은 브랜치를 만들고자 한다. 일단 브랜치를 만들기 전에 그 브랜치를 담을 저장소(repository)를 하나 만들어야 한다. 보통 하나의 저장소에는 하나의 프로젝트가 (또는 회사 입장에선 하나의 상품이) 들어가면 적당하다. 하지만 하나의 상품을 만든다 하더라도 결국 다수의 브랜치들이 필요한데 그 내용은 보통 아래와 같을 … Read more

Git과 Github 1 Git과 Github의 기본 개념과 설치

실제 개발을 업으로 삼게 되면 어떤 프로젝트에서도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이 소스 관리 프로그램이다. (형상 관리 툴) 그중 Git은(깃) 가장 널리 쓰이는 프로그램 중 하나로. 리눅스의 창시자인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에 의해 개발이 시작됐으며 gnu로 대표되는 오픈소스 진영의 구심점이 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런데 이는 매우 잘 만들어진 형상 관리 툴로 인정받게 되었고, 지금은 오픈 소스 진영뿐만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