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기초 10 Game Mode

Game Mode 언리얼의 Third Person 템플릿을 플레이하면 우린 기본 마네킹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다. 하지만 레벨(맵, 스테이지)상에는 아무 캐릭터도 배치되어 있지 않다. 게임 설정에 이미 우리가 조작할 기본 캐릭터의 클래스가 등록되어있기 때문. 게임이 실행되면 이를 동적으로 생성해준다. 화면 우측 하단 -> World Setting탭 -> Game Mode -> GameMode Override에 “Umzark01GameMode”라는 옵션이 선택되어있다 Umzark01은 필자의 프로젝트 … Read more

언리얼 기초 9 Third Person의 컨텐츠 (2)

Rig 폴더 언리얼 Third Person 템플릿의 Content/Characters/Mannequins/Rig 폴더에는 기본 캐릭터(마네킹)와 관련해서 부가적인 설정 파일들이 들어있으며 아래와 같다 컨트롤 리그 “CR_”로 시작하는 파일들. 애니메이션 후처리에 사용 마네킹의 목이 너무 많이 돌아가거나, 팔꿈치가 반대로 접히 현상에 대해 회전량에 상한을 두는 설정 등 캐릭터가 경사진 곳에 서있을 경우 한쪽발을 올려주는 IK(Inverse Kinetic)설정과 로직등에 사용 후처리 에니메이션 블루프린트 “ABP_”로 … Read more

언리얼 기초 8 Third Person의 컨텐츠 (1)

Third Person의 컨텐츠 폴더 컨텐츠 브라우저를 보면 Content 폴더에 3개의 폴더가 보인다. Third Person 템플릿을 선택했을 대 추가되는 폴더들이며 아래와 같다 Character 폴더 Third Person 마네킹 캐릭터의 뼈, 메쉬(mesh, 살), 스킨 등 기본적이 아트 리소스들 주 내용물이다. 해당 폴더를 열었을 때 Mannequin_UE4 폴더와, Mannequins가 보이는데 전자는 언리얼4의 레거시 캐릭터, 필요없어 지울까 고민중. 아래는 Mannequins폴더 안의 … Read more

언리얼 기초 7 플레이와 템플릿

게임 플레이 프로젝트 생성시 Third Person 템플릿(팩)을 이용해 생성했다면 우리는 당장 이 프로젝트를 아래처럼 실행해 볼 수 있다. (다른 템플릿도 다른 방식으로 실행된다) 화면상에 보이는 부분에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되는 것 해당 뷰포트를(화면) 클릭하고 마우스와 방향키를 통해 캐릭터를 움직일수 있다. 스페이스로 점프도 할 수 있다. F8을 누르면 플레이를 멈추지 않으면서 제어하고 있는 캐릭터에서 벗어날 수 … Read more

언리얼 기초 6 화면 전환

화면 전환 방법 언리얼 Third Person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당장 보이는게 레벨(스테이지, 지역)의 모습이다. 이 레벨 뷰포트(화면)에서 시선을 바꾸기 위해 아래의 조작을 할 수 있다 필자는 보통 키보드 방향키 + 마우스 우 클릭을 통해 이동하며 필요시 마우스 좌우버튼을 동시에 눌러서 추가 보정을 한다 이런 화면 전환 방법은 레벨(스테이지, 지역)의 이동 뿐아니라, 각종 뷰포트에서 공통적으로 쓰인다.